unsigned 컬럼은 부호 없는 정수를 나타내며, 일반적으로 양수만을 저장할 때 사용됩니다.
DB 관점에서의 문제점
1. 데이터 불일치:
unsigned 컬럼을 가진 테이블을 다른 테이블과 조인할 때, 부호 있는 정수 컬럼을 가진 테이블과 조인하면 데이터 불일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음수 값을 가지는 부호 있는 정수 컬럼과 양수 값을 가지는 unsigned 컬럼 간에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
2. 인덱스 문제 ✨:
unsigned 컬럼을 사용하면 해당 컬럼에 대한 인덱스가 부호 없는 정수 범위 내에서만 작동합니다.
따라서 음수 값이 있는 컬럼을 조인하거나 비교할 때 인덱스를 사용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
3. 형변환 오버헤드:
unsigned 컬럼과 부호 있는 정수 컬럼 간의 조인 또는 비교 연산에서 형변환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이는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, 형변환으로 인한 정확성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테이블 설계시 해당 컬럼 unsigned 지정을 잘 고려해야 함
'D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모델링 스터디(쇼핑몰) (0) | 2023.04.09 |
---|---|
제 1-2-3 정규화 & 역정규화 (0) | 2022.12.16 |
데이터 모델링 개념 (1) | 2022.12.16 |